壹、中文部分
王秋萍(2002)。德國自由另類學校簡介。教育研究月刊,102期,138-142。成虹飛(1997)。另類教育的另類反思。我們的教育,2期,34-35。
何瑞珠(1999)。台灣教育改革中的另類學校—種子學院與北政自主學習實驗班。基礎教育學報,9卷1期,107-112。李雅卿(2003)。天堂不只一種:談我對教育多元化的看法。北縣教育,45期,49-54。沈姍姍(2003)。家長教育選擇權的發展與爭議。北縣教育,45期,41-44。吳清山(2003)。國民教育階段辦理非學校型態實驗教育之挑戰與策略。北縣教育,45期,18-26頁。吳文侃、楊漢清主編(1996)。比較教育學。台北:五南圖書出版公司。
唐宗浩(2003)。另類學校的困境與出路。另類教育電子報,8期。
自取http://alearn.org.tw/mag/doc/e000801.htm。
陳江松(2003)。一種另類教育的解析:「非學校型態實驗教育」的現況探討、問題分析與解決策略。北縣教育,45期,35-39。陳素燕、陳舜芬(2002)。台灣沙卡學校另類教育之研究。教育研究資訊,10卷6期,133-152。馮朝霖(1995),歐洲「替代性學校」(Alternative schools)發展介紹。竹市文教,第11期,84年4月,30-35頁。
馮朝霖(2001)。另類教育與全球思考。教育研究月刊,92期,33-92。馮朝霖(2001)。教改瑰寶 即將流落街頭?。中國時報民90年7月4日,15版。
楊巧玲(2000)。課程與教學的社會學分析—三所小學教育實際之比較研究。國立高雄師範大學教育學系,教育學刊,16期,193-209。張曉玲(2001)。新法制、新學校、新世紀:為什麼需要理念學校法。人文教育札記,140期,40-42。
劉世閔、吳育偉(2004)。家長教育選擇權:教育公平與績效的雙刃劍。國民教育研究學報,12期,19-40。蔡德輝、吳芝儀(1999)。為中輟學生籌設選替性另類學校之必要性。翰林文教雜誌,5期,10-12。貳、外文部分
강태중 외(1996)。‘새학교’구상: 좋은 학교의 조건과 그 구현 방 안 탐색。 서울:한국교육개발원。
강대중(2002)。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서울: 박영률 출판 사。
고병헌(1996)。대안교육의 지향。 서울: 내일을 여는 책。
고병헌(1997)。교육 개혁 운동으로서의 대안 교육 운동。내일을 여는 책, 처음처럼, 통권 제4호: 5-39。
고병헌(1998a)。한국 대안교육운동의 실태、성격、그리고 과제 。(사)맥지 청소년 사회교육원 시민대토론회 자료집, (1998. 4. 2) : 17-14。
고병헌(1998b) 。신자유주의 정책과 대안교육운동의 대응。우리
교육8월호: 52-57。
고병헌(1999)。<대안교육한마당> 5년을 돌아보며。내일을 여는 책,처음처럼,통권 제14호 : 53-66。
고영림譯,Edgar Morin著(1999)。미래의 교육에 반드시 필요한 7가지 원칙 (Les sept savoirs. nécessaires à l’éducation du future)。서울:당대。
교육인적자원부(2003.6)。代案敎育機關에 대한 學校授業 認定및 ‘學力認定 代案學校(가칭)’設立등을 통한 代案敎育 擴大․內實化 推進計劃(案) 。
구혜정 외譯,Arthur W. Combs 著(1998)。우리가 원하는 학교。 서울: 학지사。
기독교야학연합회(1985)。민중야학의 이론과 실천。서울:풀빛。
김기수(1998)。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에 관하여。한국교육연구 소소식,vol.33:161-170。
김기수(2000)。새 학교문화 창조의 이념과 실제。교육철학회, 敎育哲學,vol.23:151-166。
김기협譯,John Taylor Gatto 著(2005)。바보 만들기(Dumbing Us Down)。서울:민들레。
김명수 외(1998)。代案教育運動 探索에 관한 研究。韓國教員大學校 教授論叢,第14卷 第1號:99-129。
김명신(2002)。대안교육 어제-오늘-내일。서울:문음사。
김병길 외(2001)。대안교육에 있어서 ‘대안’의 범주화。교육철 학회,敎育哲學,vol. 19:1-17。
김영화 외(2001)。도시형 대안학교 설립 방안 연구。교육인적 자원부 정책 연구 보고서。
김재웅(1999)。홈스쿨의 역사와 법률적 문제''。박사학위논문。
김홍태(2002)。일본 대안교육의 사례탐색。초등교육연구,vol.15 (1):87-105。
대안교육을 열어가는 모임(1995)。미간행 자료집。
또 하나의 문화 동인(1995)。누르는 교육 자라는 아이들。또 하나의 문화 제5호。
민들레편집실(2005)。대안학교 길라잡이。서울:민들레。
새로운 학교를 만드는 모임(1996)。미간행 자료집。
서울시대안교육센터 譯,Eliot Levine 著(2004)。학교를 넘어선 학교。 서울:민들레。
서울평화교육센터(1996)。대안교육의 모델과 실천。서울:내일을 여는 책。
박진애(2005) 。한국교육현실의 문제점 및 원인과 자유주의 사 상에 기반한 해결방안。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석사논문 。
송순재(2000)。불어라 ‘홍학’의 바람아! : 학교교육개혁운동의 대안적 구상 과 전망。내일을 여는 책,처음처럼,통권 제22호:100- 144。
신종수(2000)。대안학교에서의 생태주의 교육에 관한 비판적 분석 : 풀무학 교와 간디학교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관춘(1996)。생명가치구현을 위한 영국의 대안교육。교육사 회학연구, vol.6 (2):149-163。
이선숙(2001)。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성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종태(1998)。대안 교육의 도전。한국교육개발원,교육개발, 112 (1998. 3):57- 61。
이종태(1999)。대안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색(1) ; 생태주의 교 육이념을 중심으로。한국교육개발원,한국교육,26、1 (1996.6):1-19。
이종태(2001)。대안교육과 대안학교。서울:민들레。
이종태(2005)。제3기 대안교육운동을 위하여。민들레,통권 39호:24-32。
이재규譯,Peter F. Drucker著(1993)。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The Post-Capitalist Society)。서울:한국경제신문사。
임현식(2000)。수요자중심교육의 교육학적 타당성 분석。교육 철학회,敎育 哲學,vol. 23:167-184。
정유성(1997)。대안교육이란 무엇인가。서울:내일을 여는 책。
정유성 외(1999)。대안학교(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사 양성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정책 연구 보고서。
조용태 외(2000)。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이념과 역사。교육학논 총,vol. 21 (1):151-170。
제2회 전국 참교육실천보고대회(2003) 。소규모 학교에서의 대안교육프로그램 운영방안。미간행 자료집。
천세영(2001)。대안학교형 특성화고등학교의 재정 지원 방안 탐색。교육재정경제연구,vol. 10 (1):63-90。
최연구(1998)。불확실성의 21세기, 어떻게 맞을 것인가。당대비평, 통권 제5호: 22-37 。
최영신(2001)。비행 청소년의 학교 중퇴와 대안학교。교육사 회학연구,제11 권,제3호:127-157。
한국교육연구소(2001) 。도시지역 비기숙형 공립 대안학교 설립 운영 방안 연구。연구보고서:57-68。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2005) 。대안교육으로 가는 길。 대안 교육 입문과정강좌(미간행 자료집)。
한완상 외(1985)。한국민중교육론。서울:학민사。
Cooper, B. S.(1994) .Alternative Schools and Programs, in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2nd ed. vol. 1, 260-266.
Dunn, Mary Anna (1997) .We’re still open: An Historical Investigation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at a Public Open School. Dr.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Gregory, I.(1988) .What makes alternative school’s alternative? Holistic Education Review; 12-20.
Hahn, A. (1987) .Reaching out to America’s drop outs: What to do? Phi Delta Kappan; 69(4), 256-63.
Lange, Cheryl M. & Sletten, Sandra J. (1995)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Schools and Program Serving At-Risk Student. Research Report No. 16. Special Education Programs. Washington, D.C.
Smith, Vernon H. (1973) .Option to Public Education: The Quiet Revolution. Phi Delta Kappan; 54(3): 434-435.
Sweeney, M. & Wheelock, A. (1989) .Alternative education: A vehicle for school reform. Changing School; 17(3), 1, 4-6.
Wircenski, J. & Others (1990) .Instructional alternatives. NASSP Curriculum Report; 19(4), 2-7.
Petrie, A. J.(1995).Home educators and the law within Europe. International Review of Education; 41(3-4), 285-296
參、網址部分
韓國教育研究所:http://www.keri21.org/index.html 한국교육 연구소
另類教育聯隊:http://psae.or.kr/ 대안교육연대
蒲公英出版社:http://www.mindle.org/ 민들레
韓國教育開發院:http://www.kedi.re.kr/ 한국교육개발원
首爾市另類教育中心:http://www.activelearning.or.kr/ 서울시 대안교육센터
建設交通部:http://www.moct.go.kr/ 건설교통부
教育部:http://www.moe.go.kr/ 교육인적자원부
共同育兒協同組合:http://www.gongdong.or.kr/jsp/main/index.jsp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