跳到主要內容

臺灣博碩士論文加值系統

(18.97.9.174) 您好!臺灣時間:2024/12/03 20:04
字體大小: 字級放大   字級縮小   預設字形  
回查詢結果 :::

詳目顯示

: 
twitterline
研究生:董文君
研究生(外文):Debby Tung,
論文名稱:『三國遺事』에記載된三國의建國始祖研究(『三國史記』와比較를통해서)
指導教授:林明德林明德引用關係
學位類別:碩士
校院名稱:中國文化大學
系所名稱:韓國語文研究所
學門:人文學門
學類:外國語文學類
論文種類:學術論文
畢業學年度:94
語文別:韓文
中文關鍵詞:三國遺事始祖史記建國
外文關鍵詞:SamkukyusafamilyChina
相關次數:
  • 被引用被引用:1
  • 點閱點閱:665
  • 評分評分:
  • 下載下載:156
  • 收藏至我的研究室書目清單書目收藏:1
A Study on Founders of Three Kingdoms Recorded in ‘Samkukyusa(三國遺事)’
- Making Comparison With ‘Samkuksagi(三國史記)’-

Debby Tung,

Master’s Program 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of Chinese Culture University



‘Samkuksagi’ by Kim Bu Sik and ‘Samkukyusa’ by Il Yeon are two valuable classics that convey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 This thesis primarily aims to compare three founders of Three Kingdoms depicted in ‘Samkukyusa’ with recordings in ‘Samkuksagi’.
First of all, it is attempted to make comparison, concerning the background of those periods, in the structures and authorship an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between the two books. ‘Samkuksagi’
is a kind of formal historical records mainly depicting and compiling historical facts, and its author Kim Bu Sik was Confucianism-schooled scholar. However, ‘Samkukyusa’ by Il Yeon consists of prevailing portions of Buddhism, but also includes concluding narratives, literatures and traditional legends.
As regards founder of Koguryeo, ‘The Chu-Mong (朱蒙) Myths’ were myths referring coming down to earth by hatching birth myths, a typical form of heroism story. He was of noble birth of mysterious manner, then, later through struggles he founded the Dynasty of Koguryeo(高句麗). In fact, ‘Samkukyusa’ is full of much more contents of mysteries which were described by time order . There are a couple of different stories regarding establishment of the Dynasty of Paekche(百濟). ‘Samkukyusa’ depicts the establishment Packche with Won-Cho(溫祚) as the centre figure, but ‘Samkuksagi’ alleged that Chu-Mong had two sons, Won-Cho(溫祚) and Pi-Liu(沸流). However Chu-Mong had another son, named Liu-Li(琉璃) who went southern and established another Dynasty therein. Later on Wn-Cha’s government well developed, becoming on economic and military power prevailing Fu-Liu and Liu-Li. Absorbing their power structures, Won-Cho established Paekche Dynasty, form of a state. It might be during the struggling for power. Because of hatred, King Won-Cho became non-Godly birth in family records. Won-Cho’s godly birth was demolished. So, he was different from those Kings who established the other two Kingdoms, who were all recorded as Godly birth. Unlike the founder of Paekche, the founder of Silla(新羅) was also recorded as godly birth. Among the Three Kingdoms, Koguryeo grew strongest that it ousted the Chinese, created the most northerly of the three Kingdoms in 313.
In comparing the depictions concerning three founders of Three Kingdoms in ‘Samkukyusa’ with ‘Samkuksagi’, it was found that godly birth myths regarding the founders of two Kingdoms , to begin with Chu-Mong (朱蒙) Myth, contain much more rich contents in ‘Samkukyusa’ than in ‘Samkuksagi’. As regards the founder of Packche, godly birth myth was deliberately overlooked, and it might be due to the restoration movement of Packche during Koryeo Dynasty. The value and meaning of ‘Samkukyusa’ by Il Yeon not only lie in complementing ‘Samkuksagi’ in many areas, applying prevailing portions of Buddhism, but also it attempted to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with all the founders of Three Kingdoms eventually naming themselves as Son of Heaven’ as distinguished from ordinary man, which implies they originated with Heaven , implying forming independent states from China.
한글논문초록

본 논문은 『삼국유사』에 기재된 삼국의 건국시조를 살펴보고, 『삼국사기』와의 비교를 통해서 서술내용과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의의를 찾으려고 한다.
두 저서의 편찬 당시의 시대적 배경, 저서의 구성 및 서술방식과 작가의 역사의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일연은「自敘」에서, 제왕이 일어날때는 반드시 符命을 얻고 도록을 받게 되며, 또한 보통 사람과는 다른 점이 있는 것이 당연하며, 큰 변의 틈을 타서 대기를 잡아 대업을 이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때문에 삼국의 시조가 모두 신비스러운 데서 나왔다고 하는것이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天子라는 칭호를 서슴치 않고 썼고, 신이적인 내용들을 역사 자체로 인식하여 삼국을 중국으로 부터 독립된 동등한 위치의 국가로서 여겼다. 김부식은 「進三國史記表」를 통해 분열된 민심을 재수습하고,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함과 동시에, 중국과 유연한 평화적 외교술로 국가의 안정을 찾으려는 목적에서 『삼국사기』를 편찬한다고 밝혔다.
『삼국유사』는 인용된 자료와 의견을 명확히 구분하여 저술한 것으로 다양한 문헌들이 인용되어 있다. 불교사적인 색채가 짙긴 하지만, 그 외 언어, 문학, 민속 등에 관해서도 많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삼국사기』는 述而不作의 원칙으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였고, 국내외 여러 문헌들을 인용하였다. 본인이 유학자인 만큼 객관적인 입장에서 편찬하였다.
주몽신화는 천강신화이자 卵生神話이다. 또한 전형적인 영웅신화의 형식을 따른다. 고귀한 신분의 주몽은 신비한 탄생을 한 후 계속 고난을 겪으나 신성으로 이겨내어 결국 고구려를 건국하기에 이른다. 주몽신화는 신이적인 내용이 많아 『삼국유사』에서 전하는 내용이 더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 『삼국사기』가 더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주몽이 죽을 때까지 사건 중심으로 연대순으로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백제 건국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삼국유사』에는 온조설을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삼국사기』에는 온조 뿐 아니라 비류를 시조로 한 건국신화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온조와 비류는 형제로서 주몽의 자식이며, 주몽의 아들 유리가 졸본부여로 오자 남하 하였고, 후에 온조집단이 경제와 군사면에서 비류집단보다 우월해지면서 그 세력을 흡수하여 백제를 세운 것이다. 고구려와 신라의 건국시조와는 달리 온조왕에게는 신이적인 내용이 없는데, 이는 격렬했던 백제재건 운동으로 인해 미움을 사게 됨으로써 신이적인 내용이 삭제되고, 고구려 에서 파생된 나라로 표현되기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신화는 온조설화와 달리 주몽과 같이 말, 天降神 話, 卵生神話과 같은 신이적 모티브가 있다. 하늘에서 내려온 육부가 혼란 한 시대에 통치할 왕을 필요로 하여 하늘에 빌어 알의 형태로 얻은 혁거세 는 계룡의 옆구리에서 태어난 알영과 이상적인 왕족가문을 형성함과 동시 에 이상국을 건설하였다. 또한 알영은 주몽의 어머니 유화와 같은 반인 반신의 형태였는데, 유화가 입술을 잘리듯 알영은 알영정가에서 목욕함으 로써 비로소 인간이 되는 비슷한 모티브를 지닌다.




주요어: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국, 건국시조, 신화, 역사인식

目次


<한글논문초록>

Ⅰ. 序論 -------------------------------------------------------------------------------------- 1
1.1 문제제기 --------------------------------------------------------------------------- 1
1.2 기존의 연구성과 분석 --------------------------------------------------------- 2
1.3 연구방법 및 범위 --------------------------------------------------------------- 4

Ⅱ. 『三國遺事』와 『三國史記』의 편찬과정 및 구성 ------------------------7
2.1 『三國遺事』의 편찬 -----------------------------------------------------------7
2.1.1 『三國遺事』의 시대배경 ---------------------------------------------7
2.1.2 一然의 역사의식 -------------------------------------------------------- 8
2.2 『三國遺事』의 구성 -----------------------------------------------------------10
2.3 『三國史記』의 편찬 --------------------------------------------------------- 14
2.3.1 『三國史記』의 시대배경 ------------------------------------------- 14
2.3.2 金富軾의 역사의식 --------------------------------------------------- 16
2.4 『三國史記』의 구성 --------------------------------------------------------- 17

Ⅲ. 朱蒙神話 --------------------------------------------------------------------------------- 22
3.1 朱蒙神話의 內容 및 敘述特徵 ---------------------------------------------- 22
3.1.1 解慕漱의 降世 ----------------------------------------------------------- 23
3.1.2 朱蒙의 誕生 -------------------------------------------------------------- 25
3.1.3 高句麗의 建國 ----------------------------------------------------------- 29
3.2 『三國史記』와의 비교 ------------------------------------------------------- 31

Ⅵ. 溫祚說話 -------------------------------------------------------------------------------- 35
4.1 溫祚說話의 內容 및 敘述特徵 ---------------------------------------------- 35
4.2 沸流說話 -------------------------------------------------------------------------- 38
4.3 『三國史記』와의 비교 ------------------------------------------------------- 42

Ⅴ. 朴赫居世神話 --------------------------------------------------------------------------- 44
5.1 朴赫居世神話의 內容 및 敘述特徵 ---------------------------------------- 44
5.1.1 六部祖 --------------------------------------------------------------------- 44
5.1.2 朴赫居世와 閼英의 誕生 --------------------------------------------- 47
5.1.3 新羅의 建國과 朴赫居世의 昇天------------------------------------ 51
5.2 『三國史記』와의 비교 ------------------------------------------------------- 53

Ⅵ. 결론---------------------------------------------------------------------------------------- 56

참고문헌---------------------------------------------------------------------------------------- 59
Abstract ------------------------------------------------------------------------------------- 64





<표 목차>

<표-1> 『삼국유사』의 구성 ------------------------------- 13
<표-2> 『삼국사기』의 구성 ------------------------------- 19
<표-3> 「동명왕 신화」의 수록양상-------------------------- 31
참고문헌


1.史料
崔南善, 『增補三國遺事』, 민중서관, 195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三國史記의 원전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2.연구논저
1) 단행본
김문태, 『三國遺事 詩歌와 敘事文脈 研究』, 태학사, 1995.
김성호, 『沸流백제와 일본의 국가기원』, 지문사, 1982.
金烈奎, 『韓國民俗과 文學研究』, 一潮閣, 1978.
———, 『韓國의 神話』, 一潮閣, 1982.
김종서, 『고구려 건국신화는 없었다:사기•후한서•三國史記•三國遺事 등의 심층연구』, 한민족역사연구소, 2002.
소재영, 『韓國說話文學研究』, 崇田大學校 出版部, 1984.
이병도, 『한국고대사 연구(수정판)』, 박영사, 1992.
이어령, 『신화 속의 한국인 三國遺事의 세계』, 갑인출판사, 1997.
이종욱, 『한국 고대사의 새로운 체계:100년 통설에 빼앗긴 역사를 찾아서』, 조합공동체 소나무, 1999.
이지영, 『韓國敍事文學의 硏究』, 國學資料院, 1997.
윤철중, 『三國遺事의 神話』, 토담출판사, 1994.
장덕순, 『韓國說話文學研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1.
정구복, 『새로 읽는 三國史記』, 동방미디어, 2000.
河炫綱,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의 史觀』, 讀書生活, 197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三國遺事의 綜合的 檢討』,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황패강, 『三國遺事와 佛教說話』, 東北亞細亞研究會, 1982.
———, 『한국고전문학의 이론과 과제』,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7.
今西龍, 『檀君論』, 青丘學叢朝鮮古史研究, 1929.


2) 학술논문
권영호, “三國史記․三國遺事 비교소론(朴堤上傳과 奈物王 金堤上을 중심 으로)”, 『新羅學研究』Vol.5, 2001.
金杜珍, “신라 六村長神話의 모습과 그 의미”, 『新羅文化』Vol.21, 2003.
김미란, “建國神話의 受容樣相과 그 意味─高麗時代를 중심으로” 『畿甸語文學』Vol.10-11, 1996.
金列奎, “三國遺事의 神話論的인 문제점”,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Vol.1, 1980.
———, “三國遺事 所載 神話의 一考察(특히 誕生 主旨를 中心으로)”, 『진단학보』No.36, 1973.
金元龍, “三國時代의 開始에 關한 一考察─三國史記와 樂浪郡에 대한 再檢查─“, 『東亞文化』7집, 1967.
김태영, “三國遺事에 보이는 一然의 歷史認識에 대하여”, 『三國遺事 研究 論選集』, 백산자료원, 1986.
金哲埈, “百濟建國考”, 『百濟研究』, 1982.
盧明鎬, “百濟 建國神話의 原形과 成立背景”, 『百濟研究』Vol.20 , 1989.
서대석, “한국 신화의 역사적 전개”, 『口碑文學硏究』Vol.5, 1998.
엄기영, “三國史記․三國遺事 所載 ‘朴堤上이야기’의 比較考察”, 『한국문 학 이론과 비평』Vol.19, 2003.
李基東, “百濟建國史 二,三問題”, 『百濟研究』Vol.21, 1990.
이기백, “三國遺事 紀異篇의 考察”, 『新羅文化』, Vol.1, 1984.
이남영, “三國遺事와 승 一然과의 관계 고찰”, 『哲學論究』Vo.2, 1973.
이복규, “朱蒙신와의 뜻풀이(1)-三國史記 소재자료”, 『東方學』Vol.1, 1996.
이재원, “한국 문헌설화의 연구사 고찰”, 『韓國體育大學校 教養教育論文集』No.7, 2002.
임종욱, “三國史記 列傳과 三國遺事의 敘事物 記述態度 比較”, 『國語國 文學 論文集』Vol.16, 1993.
尹敬洙, “朴赫居世神話의 원형상징성─신화의 원천 고증을 중심으로”, 『比較文化研究』Vol.7, 1996.
尹順, “古代中國과 三國遺事의 卵生神話 研究(‘宇宙 알’과 ‘棄卵 motif’ 을 중심으로)”, 『淸大學術論集』Vol.2 No.2, 2004.
——, “古代中國과 『三國遺事』의 感生神話 硏究(『三國遺事』의 紀異편
‘解題’를 중심으로)”, 『淸大學術論集』Vol.1, 2003.
윤천근, “金富軾의 역사철학”, 『퇴계학』Vol.7, 1995.
張德順, “三國遺事所載의 說話分類”, 『人文科學』Vol.2, 1958.
조이옥, “三國史記에 나타난 金富軾의 國家意識”, 『東洋古典硏究』Vol.11, 1998.
千寬字, “三韓攷 第3部-三韓의 國家形成”, 『韓國學報』2•3호, 1976.
최범호, “백제 건국문제의 재검토─건국시조와 건국지를 중심으로”, 『全北 史學』Vol.19~20, 1997.
崔在錫, “三國史記 初期記錄은 과연 造作된 것인가”, 『韓國學報』Vol.11, 1985.
하정현, “건국신화의 연구동향 및 과제─三國遺事의 紀異편을 중심으로”, 『한국종교연구회회보』Vol.3, 1991.
———, “一然의 신화인식에 관한 연구(三國遺事 紀異편 소재 시조신화를 중심으로”, 『宗教學研究』Vol.10, 1991.


3) 학위논문
권호택, “고구려 건국신화 연구:東明王篇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5.
羅景洙, “韓國 建國神話 研究”, 全南大學博士論文, 1988.
文永華, “신화교육연구─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동명왕 신화를 중심으로”, 인천대 석사논문, 2002.
백지영, “고려조역사서의 평가를 위한 비교연구”, 이화여대석사논문, 2003.
李在云,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의 比較考察, 충북대 석사논문, 1983.
田英鎮, “三國遺事 所載 緣起說話의 研究”, 단국대 박사논문, 1990.
최범호, “百濟 溫祚王代의 部 研究”, 전북대 박사논문, 2001.
河廷鉉, “一然의 神話認識에 관한 研究”, 서울대 석사논문, 1991.
한미옥, “백제 건국신화의 계통과 전승연구”, 전남대 박사논문, 2003.
許慶會, “韓國의 王祖說話 研究”, 全南大學 博士論文, 1987.


4) 인터넷자료
디지털 한국학, 三國史記 고구려 본기─동명성왕-, http://www.koreandb.net/Sam/bon/samkuk/04_130_1000789.htm.
三國史記, http://www.tokdo.co.kr/history/sagi.htm.
엠파스 한국학 지식, http://www.koreandb.net/Sam/dic11_0474.html.
정구복, 전문가 조언─三國遺事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국학 중앙연구원, http://www.aks.ac.kr/aks_home.
QRCODE
 
 
 
 
 
                                                                                                                                                                                                                                                                                                                                                                                                               
第一頁 上一頁 下一頁 最後一頁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