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문헌
1.史料 崔南善, 『增補三國遺事』, 민중서관, 195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三國史記의 원전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2.연구논저 1) 단행본 김문태, 『三國遺事 詩歌와 敘事文脈 研究』, 태학사, 1995. 김성호, 『沸流백제와 일본의 국가기원』, 지문사, 1982. 金烈奎, 『韓國民俗과 文學研究』, 一潮閣, 1978. ———, 『韓國의 神話』, 一潮閣, 1982. 김종서, 『고구려 건국신화는 없었다:사기•후한서•三國史記•三國遺事 등의 심층연구』, 한민족역사연구소, 2002. 소재영, 『韓國說話文學研究』, 崇田大學校 出版部, 1984. 이병도, 『한국고대사 연구(수정판)』, 박영사, 1992. 이어령, 『신화 속의 한국인 三國遺事의 세계』, 갑인출판사, 1997. 이종욱, 『한국 고대사의 새로운 체계:100년 통설에 빼앗긴 역사를 찾아서』, 조합공동체 소나무, 1999. 이지영, 『韓國敍事文學의 硏究』, 國學資料院, 1997. 윤철중, 『三國遺事의 神話』, 토담출판사, 1994. 장덕순, 『韓國說話文學研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1. 정구복, 『새로 읽는 三國史記』, 동방미디어, 2000. 河炫綱,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의 史觀』, 讀書生活, 197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三國遺事의 綜合的 檢討』,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황패강, 『三國遺事와 佛教說話』, 東北亞細亞研究會, 1982. ———, 『한국고전문학의 이론과 과제』,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7. 今西龍, 『檀君論』, 青丘學叢朝鮮古史研究, 1929.
2) 학술논문 권영호, “三國史記․三國遺事 비교소론(朴堤上傳과 奈物王 金堤上을 중심 으로)”, 『新羅學研究』Vol.5, 2001. 金杜珍, “신라 六村長神話의 모습과 그 의미”, 『新羅文化』Vol.21, 2003. 김미란, “建國神話의 受容樣相과 그 意味─高麗時代를 중심으로” 『畿甸語文學』Vol.10-11, 1996. 金列奎, “三國遺事의 神話論的인 문제점”,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Vol.1, 1980. ———, “三國遺事 所載 神話의 一考察(특히 誕生 主旨를 中心으로)”, 『진단학보』No.36, 1973. 金元龍, “三國時代의 開始에 關한 一考察─三國史記와 樂浪郡에 대한 再檢查─“, 『東亞文化』7집, 1967. 김태영, “三國遺事에 보이는 一然의 歷史認識에 대하여”, 『三國遺事 研究 論選集』, 백산자료원, 1986. 金哲埈, “百濟建國考”, 『百濟研究』, 1982. 盧明鎬, “百濟 建國神話의 原形과 成立背景”, 『百濟研究』Vol.20 , 1989. 서대석, “한국 신화의 역사적 전개”, 『口碑文學硏究』Vol.5, 1998. 엄기영, “三國史記․三國遺事 所載 ‘朴堤上이야기’의 比較考察”, 『한국문 학 이론과 비평』Vol.19, 2003. 李基東, “百濟建國史 二,三問題”, 『百濟研究』Vol.21, 1990. 이기백, “三國遺事 紀異篇의 考察”, 『新羅文化』, Vol.1, 1984. 이남영, “三國遺事와 승 一然과의 관계 고찰”, 『哲學論究』Vo.2, 1973. 이복규, “朱蒙신와의 뜻풀이(1)-三國史記 소재자료”, 『東方學』Vol.1, 1996. 이재원, “한국 문헌설화의 연구사 고찰”, 『韓國體育大學校 教養教育論文集』No.7, 2002. 임종욱, “三國史記 列傳과 三國遺事의 敘事物 記述態度 比較”, 『國語國 文學 論文集』Vol.16, 1993. 尹敬洙, “朴赫居世神話의 원형상징성─신화의 원천 고증을 중심으로”, 『比較文化研究』Vol.7, 1996. 尹順, “古代中國과 三國遺事의 卵生神話 研究(‘宇宙 알’과 ‘棄卵 motif’ 을 중심으로)”, 『淸大學術論集』Vol.2 No.2, 2004. ——, “古代中國과 『三國遺事』의 感生神話 硏究(『三國遺事』의 紀異편 ‘解題’를 중심으로)”, 『淸大學術論集』Vol.1, 2003. 윤천근, “金富軾의 역사철학”, 『퇴계학』Vol.7, 1995. 張德順, “三國遺事所載의 說話分類”, 『人文科學』Vol.2, 1958. 조이옥, “三國史記에 나타난 金富軾의 國家意識”, 『東洋古典硏究』Vol.11, 1998. 千寬字, “三韓攷 第3部-三韓의 國家形成”, 『韓國學報』2•3호, 1976. 최범호, “백제 건국문제의 재검토─건국시조와 건국지를 중심으로”, 『全北 史學』Vol.19~20, 1997. 崔在錫, “三國史記 初期記錄은 과연 造作된 것인가”, 『韓國學報』Vol.11, 1985. 하정현, “건국신화의 연구동향 및 과제─三國遺事의 紀異편을 중심으로”, 『한국종교연구회회보』Vol.3, 1991. ———, “一然의 신화인식에 관한 연구(三國遺事 紀異편 소재 시조신화를 중심으로”, 『宗教學研究』Vol.10, 1991.
3) 학위논문 권호택, “고구려 건국신화 연구:東明王篇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5. 羅景洙, “韓國 建國神話 研究”, 全南大學博士論文, 1988. 文永華, “신화교육연구─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동명왕 신화를 중심으로”, 인천대 석사논문, 2002. 백지영, “고려조역사서의 평가를 위한 비교연구”, 이화여대석사논문, 2003. 李在云,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의 比較考察, 충북대 석사논문, 1983. 田英鎮, “三國遺事 所載 緣起說話의 研究”, 단국대 박사논문, 1990. 최범호, “百濟 溫祚王代의 部 研究”, 전북대 박사논문, 2001. 河廷鉉, “一然의 神話認識에 관한 研究”, 서울대 석사논문, 1991. 한미옥, “백제 건국신화의 계통과 전승연구”, 전남대 박사논문, 2003. 許慶會, “韓國의 王祖說話 研究”, 全南大學 博士論文, 1987.
4) 인터넷자료 디지털 한국학, 三國史記 고구려 본기─동명성왕-, http://www.koreandb.net/Sam/bon/samkuk/04_130_1000789.htm. 三國史記, http://www.tokdo.co.kr/history/sagi.htm. 엠파스 한국학 지식, http://www.koreandb.net/Sam/dic11_0474.html. 정구복, 전문가 조언─三國遺事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국학 중앙연구원, http://www.aks.ac.kr/aks_ho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