跳到主要內容

臺灣博碩士論文加值系統

(44.192.26.226) 您好!臺灣時間:2024/09/13 09:56
字體大小: 字級放大   字級縮小   預設字形  
回查詢結果 :::

詳目顯示

我願授權國圖
: 
twitterline
研究生:蔡筱怡
研究生(外文):Tsai, Hsiao-i
論文名稱:韓國女性語之研究
論文名稱(外文):A Study on Korean Feminine Language
指導教授:扈貞煥扈貞煥引用關係
學位類別:碩士
校院名稱:中國文化大學
系所名稱:韓國語文研究所
學門:人文學門
學類:外國語文學類
論文種類:學術論文
論文出版年:2008
畢業學年度:96
語文別:中文
論文頁數:92
中文關鍵詞:女性語女性主義共同點保守性疑問句女性語標準語共同點保守性疑問句女性語標準語卑微意識
外文關鍵詞:Korean Feminine Languagemen and women oppsite languageknowledgefamilysystemfeminine self-deprecating language
相關次數:
  • 被引用被引用:0
  • 點閱點閱:311
  • 評分評分:
  • 下載下載:1
  • 收藏至我的研究室書目清單書目收藏:0
韓國女性語之研究

中文摘要

人類與動物最大的區別在於語言,語言是人與人溝通的橋樑,是一種交流工具,擔任表達思想、態度的重要角色。按社會語言學的角度來看,社會大體分為男性與女性,由過去的歷史上看來,社會大部分的權利大多由男性來執權,此種制度下發展出性別語。為了讓學習韓文的中文學者或是學習中文的韓文學者可以更加瞭解社會語言女性語的特徵,更而進一步的快速融入當地文化,本論文除了以外國學者Lakoff等人的性別語理論及韓文女性語的相關研究為基準,並添加了中文部分的資料來探討與比較。
本論文之摘要如下。
第一章,研究目的、研究方法及女性語研究史:藉由近代學者研究發表有關性別語言的論文與資料,讓更多學習韓文的中文學者更加參入了解何謂女性語言及中、韓女性語的差異。第二章,韓國社會中的女性語:本章節分成三個小章節,韓文的部分列出男性與女性在音韻/統辭/語彙/談話方面不同的特性,且將中、韓特性加以比較,其中音韻特性包含有:上升語調及使用標準語傾向;統辭特性有:附加疑問句、恭敬有禮之用法及曖昧模糊用法;語彙特性有:總稱名辭、造語法、女性卑下語及誣衊語、家族與親戚稱呼語,及男女對立語;而談話特性包含:多變性、保守性、委婉用法,及感性與協同性對話方式。第三章,首先,先針韓文‘阿姨’、‘姐姐’、‘小姐’字體的由來加以解釋與分析,接著再對此三個稱呼語採取韓、中、台灣對照分析的方式,加以舉例,且列舉出共同點及差異點。第四章,為結論部分。希望藉由此研究,可以讓更多關心韓文的學習者有更多不同方面的知識吸收與體驗。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humanity and the animal lies in the language, which is the bridge that the humankind communicates with, and also a kind of exchanging tool used in expressing thoughts and the manner. In terms of social linguistics, the society roughly consists of the male and female. According to the history, the society is mostly dominated by the male. Under this system, the “Language of Gender” is developed.
In addition to quote the theories of the Gender Language of a foreign scholar, Lakoff, and related researches on the Korean feminine language as a datum, the author puts some Chinese material for discussion and comparison in this paper in order to help the Chinese scholars or the Korean scholars well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feminine language among the social languages, moreover, fast integrate themselves into the cultural.
The abstrac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Chapter1 contains the purpose of research,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history on Feminine Language. By quoting the studies and the material related to Gender Language published by the modern scholars, it will let more Chinese scholars can further understand the feminine language and the difference between Sino and Korean feminine language. Chapter 2 is interpreting the feminine language in Korean society. This capter contains sections. In Korean part, the author list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in the following aspects: the phonetics, syntactic, vocabulary, and conversation. Comparing to the ones of mandarin, therein the sound characteristic contains: the tendencies of rising intonation and of using the standard language;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contains: tag question, respectful courteous expression and ambiguous expression; The vocabulary characteristic includes: The general nouns, sentence making, the feminine Self-Deprecating language and slanders language, salutation language to the family and the relatives, and the men and women opposite langu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alking include: polytropy, conservatory, euphemistic expression, and perceptual and cooperative conversational mode(i.e.: Let’s…). In the third chapter, the author firstly explains and analyzes the derivation of the characters of Korean “aunt”, “elder sister”, “Miss”, then adopts the Korean-Sino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se three salutation terms. Chapter 4 is the conclusion.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would help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bsorb and experience knowledge from more different aspects.
목 차

제1장 서론………………………………………………………7
1. 연구목적 및 방법…………………………………………7
2. 여성어 연구사………………………………………………11
2.1 여성어 생성 원인……………………………………11
2.2 한국 여성어 연구사…………………………………17

제2장 한국 사회 속의 여성어…………………………………22
2.1 음운적 특성……………………………………………23
2.1.1 상승억양…………………………………………23
2.1.2 표준어 지향………………………………………25
2.2 통사적 특성……………………………………………27
2.2.1 부가의문문………………………………………27
2.2.2 공손하고 예절바른 표현………………………29
2.2.3 애매한 어투의 표현…………………………………32
2.3 어휘적 특성……………………………………………33
2.3.1 총칭명사……………………………………………33
2.3.2 조어법………………………………………………34
2.3.3 여성 비하어 및 모욕어……………………………36
2.3.4 가족, 친족 호칭어…………………………………37
2.3.5 남녀 대립어…………………………………………40
2.4 담화적 특성………………………………………………41
2.4.1 다변성………………………………………………41
2.4.2 보수성………………………………………………43
2.4.3 완곡어법……………………………………………34
2.5사회 속의 여성어 특성……………………………………35

제3장 한국 사회 속의 여성 호칭어……………………………48
- 한•중(대만) 대조 분석 –
3.1 가족 호칭어로서의 여성 대표 호칭어………………48
3.2 ‘아줌마’……………………………………………………50
3.2.1 한국어 ‘아줌마’……………………………………50
3.2.2 중국어 ‘阿姨’와 대만어‘歐巴桑’………………57
3.3 ‘언니’………………………………………………………62
3.3.1 한국어 ‘언니’ …………………………………62
3.3.2 중국어 ‘姊姊/姐姐’ …………………………68
3.4 ‘아가씨’ ………………………………………………72
3.4.1 한국어 ‘아가씨’ ………………………………73
3.4.2 중국어 ‘小姐’ …………………………………78
3.5 여성 대표 호칭어에 나타나는 한•중 차별……………85
제4장 결론……………………………………………………………88

참고자료………………………………………………………………93
참고문헌
한국:
강주헌(1991)외 역, 《여자는 왜 여자답게 말해야 하는가》, 고려원.
(2003),《나는 여성보다 여자가 좋다》, 황소걸음.
(2003),《계집 팔자 상팔자》, 황소걸음.
김선희(1991),〈여성어에 관한 고찰〉, 《어문학 연구》제19집, 목원대학 교.
(2001),《우리 사회 속의 우리말》, 한국문화사.
김선희・이석규(1992),〈남성어・여성어에 관한 연구〉, 《어문학 연구》제 19집, 목원대학교.
김순화(1997),〈성별변이에 관한 고찰〉, 동아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종택(1987),〈한국인의 전통적인 여인상-속언・속담을 통하여-〉, 《여성 문제연구》 제7집, 효성여대 한국 여성문제연구소.
(1980),〈전통사회에서의 여성의 언어예절〉, 《여성문제연구》 제 19집, 효성여대 한국여성문제 연구소.
金炫兌(2002),〈한국어의 現代和語 호칭어 사용 실태 조사 분석〉,《중국 학 논총》,no.13, 한국중국문화학회.
구현정(1995ㄱ),〈남・여성형 어휘의 사회언어학적 의미〉, 《어문학연구》 제3 집, 상명여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995ㄴ),〈남성형-여성형 어휘의 형태와 의미 연구〉, 《국어학》 제 25집, 국어학회.
류재봉(2000),《호칭과 지칭예절》, 예영커뮤니케이션.
민현식(1995),〈국어 여성어 연구〉, 《아세아 여성연구》 제 34집, 숙명 여대 아세아 여성문제 연구소.
(1995),〈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 《사회언어 학》4권1호. 사회언어학회.

(1995),〈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 《사회언어 학》5권2호, 사회언어학회.
장태진(1969),〈현대여성어연구〉, 《아세아 여성연구》 제8집,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문제 연구소.
(1977),《국어사회학》, 형성출판사.
정해경(2003),《섹시즘(Sexism) 남자들에 갇힌 여자》, 휴머니스트.
윤태수(1985),〈은어에 나타난 여대생의 의식구조〉, 《학생생활연구》5, 숙명여대 학생 생활연구소.
이능우(1971),〈한국여성어조사〉, 《아세아 여성연구》 제10집, 숙명여대 아 세아 여성문제연구소.
이점숙(1988),〈성차에 의한 언어사용의 연구〉,《가톨릭상지대학논문집》 제28집, 사회개발・산업기술연구소.
이정민(1981),〈한국어의 표준어 및 방언들 사이의 상호 접촉과 태도〉, 《한글》173‧174, 한글학회.
이청숙(2000),〈국어의 여성어 연구: 연령별 여성어의 특정을 중심으로〉, 《강남어문》제10집, 강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을환(1963),〈한국여성 속담에 관한 연구, -언어표현 중심으로〉, 《아 세아 여성연구》 제2집,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문제연구소.
(1971),〈한국속담의 문법구조연구〉, 《아세아 여성연구》 제10집,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문제연구소.
(1974),〈한국 고대여성의 언어윤리관〉, 《아세아 여성연구》 제 13집,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문제연구소.
이정현(1996),〈권위 관계속에서 남성과 여성의 언어 사용〉,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유성곤(1989), 〈여성어에 관한 연구〉, 《계명대 동서문화》제21집, 계명 대학교 동서문화 연구소.
유창돈(1996),〈여성어의 역서적 고찰〉, 《아세아 여성연구》 제5집, 숙명여대 아세아 여성문제연구소.
우신화(2004),〈여성어에 나타난 협동적 대화 추구의 양상〉,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박은숙(1979),〈여성어에 나타난 여성 혐오에 관한 연구〉, 《어문학보》 제4 집, 강원대학교.
박창원 외(1999),《언어와 여성의 사회적 위치》, 태학사.
송재선(1995),《여성속담사전》, 통문선.
신현숙(1994),〈시의 종결형식을 통해 본 남성과 여성의 문제〉, 박갑수 편저,《 국어문체론》, 대학교과서(주).
梁伍鎮(1995),〈中國語와 韓國語의 尊對 表現에 대한 比較 研究:稱呼語와 指稱語를 중심으로〉,《사회언어학》3.no1,한국사회언어학회.
장정희(1887),〈여성의 한 유형에 관한 조사연구, -’는/-ㄴ 거 있지(죠)’ 를 중심으로〉, 《국어학 신연구》1, 탑출판사.
최상진(1990),〈속담을 통해서 본 한국의 사회표상〉, 《중앙민속학》 제 2호,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
최상진(2003) 외, 《언어 이야기》, 경진문화사.
최용선(2001),〈언어와 성에 관한 연구의 비평적 개관〉, 《사회언어학》 제2권2호, 한국사회언어학회.
최혜정(1998),〈국어에 나타난 성차별적 표현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허영자(1978),〈여대생의 은어〉, 《학생생활연구》10, 성신여대 학생생활 연 구소.
대만‧중국:
毛秀月(2000)主編,《女性文化閒談-關於女性詞語》,台灣:團結出版社.
戴慶夏(1996),《社會語言教程》,北京:中央民族大學出版社.
湯延池(1996),〈國語詞彙的「重男輕女」現象〉,《漢語詞法句法論集》,台灣:學生書局,pp.59-65.
呂菁菁(2004),〈學術職場中相對的地位:女性語言習慣所造成的效果〉,台灣語言語文教育研究所, 國立新竹師範學院.
呂叔湘(1985),《近代漢語指代詞》,上海學林出版社.
顧燕翎(2002),《女性主義理論與流派》,台北:女書文化.
柯怡珊(2004),〈言談方式的性別差異:從閩南語的要求言談行為表示方式進行分析〉,台灣語言與語文教育研究所,國立新竹師院學院.
陳金鳳(1998),〈台灣學生使用親屬稱謂以稱呼非親屬關係者之研究〉,語言學研究所, 台灣輔仁大學.
陳香伶(2006),〈中國學生語言行為「請求」之中介語研究〉,台灣國立中山大學外國語文學系研究所,碩士論文.
陳原(2001),《語言與社會生活》,台灣商務印書館.

영문:
Bolinger.D.(1975), Aspects of Language,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Cameron, Deborah(1985), Feminism & Linguistic Theory, New York: St. Martin’s Press (이기우 역(1995), 《페미니즘과 언어이론》, 서울: 한국문화사.)
Coats, Jennifer(1993), Women, Men & Language: Sociolinguistic Account of Differences in Language, New York: Longman.
Fasold, Ralph(1990), The Sociolinguistics of Language, Oxford: Blackwell(황적륜 외 역(1994),《사회언어학》, 서울:한신문 화사.)
Jesppersen, Otto(1992), Language: Its Nature, Development and Origin, London: George Allen & Unwin.(김선재 역(1961), 《언어》, 한국번역도서주식회사.)
Labov, William(1972), The Sociolinguistic Pattern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sylvania Press.
Lakoff, Robin(1975), Language and Women’s Place. New York: Harper & Row.
Peter Farb.(1974), Word Play: What Happens When People Talk, New York: Alfred. A, Knopf.
Trudgill, Peter(1972), Sociolinguistics, Harmondsworth: Penguin Books.
Yaguello, Marina(1978), Les Mots Et Les Femmes, Paris: Petite Bibliotheque Payot. (강주헌 역(1994), 《언어와 여성》, 여성사.)

사이트:
http://wikipedia.tw/
http://www.hani.co.kr/
http://100.naver.com/
http://www.ohmynews.com/
http://morph.kaist.ac.kr/kcp/
http://blog.udn.com/Hanbin/1449245
http://140.111.34.46/newDict/dict/?open
http://big5.91.cn:81/readnews-279919.htm
http://140.111.34.46/jdict/main/cover/main.htm
http://www.sooyong.co.kr/shinbiro/humor/아줌마.htm
http://tw.knowledge.yahoo.com/question/question?qid=1405102218567

사전:
박용수(1989),《우리말 갈래사전》, 한길사.
사회과학출판사(1992),《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신기철(1985),《새우리말큰사전》, 삼성출판사.
연세대학교언어정보개발연구원(1998),《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안.
徐宗纔, 應俊玲 編著(1996), 《俗語詞典》, 北京:商務出版社.
溫端政 主編(1998) , 《俗語大辭典》, 上海:上海辭書出版社.
網路字典, 教育部國語辭典簡編本
網路字典, 教育部重編國語辭典修訂本.
電子全文 電子全文(本篇電子全文限研究生所屬學校校內系統及IP範圍內開放)
QRCODE
 
 
 
 
 
                                                                                                                                                                                                                                                                                                                                                                                                               
第一頁 上一頁 下一頁 最後一頁 top
無相關期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