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一、單行本 裴但以理 译(2011), 《天.风.星星与詩》,长春:吉林大学出版社 노승욱 엮음(2012),《윤동주 시선》,지식을만드는지식 마광수(2005),《윤동주 연구》,철학과 현실사 박민영(2003),《현대시의 상상력과 동일성》,태학사 이남호(2014), 《윤동주 시의 이해》, 고려대학교출판부 전문규(2013), 《윤동주 시쉽게 감상하기-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비타민북 조재수(2005),《윤동주 시어 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조창환 외(2005),《한국현대시인론》, 한국문학사 최윤정(2011), 《1930년대 낭만주의와 탈식민주의》,지식과교양 허혜정(2006),《현대시론 2》, 한국학술정보
二、學術論文 김수복(1985),「윤동주(尹東柱) 시(詩)의 원형상징(原型象徵) 연구(研究)(2)- ‘방’의 모티브를 중심(中心)으로」,『국어국문학』, (93) 김용주(2004),「윤동주 시의 자아 연구」,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대학원 박사논문 김은자(2008),「그림자의 시-윤동주시의 내면의식」,『시안』, 11(4) 김진희(2007),「윤동주의 저항시 이해와 교육 방안 연구」,『한국시학연구』, (18) 김창수(2001),「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집 이미지 연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대학원 박사논문 오혜진(2010),「윤동주 시어의 상징성 의미 연구」, 대전대학교 국어국문학과대학원 석사논문 이광형(2002),「윤동주 시의 상상력 연구」, 『인문과학연구』, (10) 이명찬(2004),「윤동주 시에 나타난 ‘방’의 상징성」, 『국어국문학』, (137) 임수만(2008),「윤동주 시의 실존적 양상-절망과 불안, 그리고 존재에의 용기」, 『한국현대문학연구』, (24) 정순성(1984),「尹東柱詩 研究-어둠의 樣相-」,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대학원 석사논문 전동진, 임수만(2008),「윤동주 시의 탈근대성 연구」,『한국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조동구(2012), 「한국현대시의 ‘방(房)’상징 연구-윤동주, 이육사, 심연수의 시를 중심으로」, 『동북아 문화연구』, (33) 채규근(2001), 「윤동주와 백석의 고향의식 비교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최창열(1982), 「尹東柱詩 研究-抵抗의 構造的인 特性을 中心으로」,『어문론』, (16) 한지민(2015), 「윤동주 시의 가족 표상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홍용희, 유재원(2014), 「분열의식과 탈식민성- 윤동주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한국시학연구』, (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