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자료>
강지연. 2015. “「중국제조 2025」 전략 -2049년 제조업 세계 최강을 겨냥한 그랜드플랜-.” 『KIET 산업경제』. 세종: 산업연구원.
김광섭. 2016. “중국 반도체 굴기(倔起)의 동향 및 대응전략.” Weekly KDB Report. 서울: KDB산업은행.
김동수. 2017. “[산업분석] 중국의 반도체산업.” http://www.kiet.re.kr/kiet_web/index.jsp?sub_num/=679&state=view&tab=list&idx=53170&recom=2614&ord=0.
김상기. 2016. “탈냉전기 미국과 중국의 국제정치적 영향력 변화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과 국제정치』제32권 제4호. 서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김성순.최명식.김인지 . 2016. “중국의 산업구조 변화가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책연구용역 보고서.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김윤희. 2017. “[한중 수교 25주년①] 무역통계로 보는 한중 경제.”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3/globalBbsDataView.do?setIdx=242&dataIdx=160549.
김종기. 2014. “중국 스마트폰산업의 글로벌 도약 전망과 시사점.” e-kiet산업경제정보. 서울 : 산업연구원.
김종기.서동혁.주대영.최동원.김재덕. 2014. “ICT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구조 변화와 발전과제.” 연구보고서 2014-734. 서울: 산업연구원.
김진영. 2007. “동아시아 국제분업과 지역주의에의 함의.”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9(1). 서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김현우. 2017. “투자 발묶인 LG디스플레이, 중국에 1위 뺏겼다.”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27264.
Robert, Gilpin저.강문구 역. 1991. 『국제 관계의 정치 경제학』. 부천: 인간사랑.
박가영. 2017. “한·중 가공무역의 구조분석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세종: 산업연구원.
박경서. 2001. 『국제정치경제론: 이론과 실제』. 서울: 법문사.
박동수. 2016. 『중국경제』. 서울: 도서출판도남.
박번순. 2002.『아시아 경제, "힘의 이동" : 일본에서 중국으로 옮겨가는 경제주도권』.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박번순. 2005.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지역발전모델의 변화.” SERI 연구보고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서동혁. 2017. “중국 디스플레이산업의 고속성장과 시사점.” 산업분석. 세종:
산업연구원.
심윤섭. 2017. “2017년 상반기 중국의 경제무역 평가 및 향후 전망.” KITA Market Report. 베이징: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안희권. 2017. “애플, 中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첫 감소.”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005339&g_menu=020600&rrf=nv.
양평섭. 2016.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와 한-대만경제협력에 대한 시사점.”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오광진. 2017. “외국자본 중국 상장사 M&A 쉬워진다…등록제로 전환.”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01/2017080101233.html.
OECD. 2010. “환황해권 초국경적 도시간협력.” OECD 지역정책 보고서. Paris: OECD.
오종석. 2017.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 성장에 따른 시사점.” CSF 이슈분석 2017-81.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유기자. 2016. “「반면교사(反面敎師)」 중국‘홍색공급망’의 영향 및 사례.” KOCHI자료 16-005. 서울: KOTRA.
윤대엽. 2016. “중국 특색의 제제전략:의도, 정책수단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 『통일연구』21권2호. 서울: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윤우진. 2016. “글로벌 가치사슬과 한국 산업의 발전방향.” 연구보고서 2016-797. 서울: 산업연구원.
윤창용.이승준.선성인.최동환.하건형. 2017. “중국 사드 보복 영향 파헤치기.” Global Sentinel. 서울: 신한금융투자.
이나리. 2017. “중국, 반도체 사업 정부 투자로 '자신만만' 메모리로 영역 확대 ②.” http://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654
이두원.김선화.김동희. 2011. “The Estimation of the Developmental Gap between China and Korea.” 『동북아경제연구』23권3호. 서울: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이만희. 2017. “사드(THAAD) 분쟁의 본질과 해법.” http://www.sejong.org/boad/bd_news/1/egofiledn.php?conf_seq=2&bd_seq=3700&file_seq=8386.
이봉걸. 2012. “대중국수출 감소원인과 전망 .” Trade Focus Vol.11 No.37. 서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이원근. 2015. “중국의 지역무역협정 체결의 정치경제학적 함의와 전망 -양안
ECFA와 한중 FTA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23집 4호. 대구: 대한정치학회.
이원식.김민경. 2017. “디스플레이산업 비중확대.” INDUSTRY REPORT. 서울: 신영증권.
이장규.김부용.최필수.나수엽.김영선.조고운.이효진. 2015. “중국의 소비 주도형 성장전략 평가.” 연구보고서 15-10.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치훈.이상원.이지현. 2017. “중국 산업고도화의 세계경제 및 우리경제 영향”. http://www.kcif.or.kr/front/board/boardView.do.
임혜란. 2013. “생산세계화와 동아시아 지역생산네트워크의 재편.” 『평화연구』Vol.21 No.1. 서울: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정지현.김부용. 2015. “중국의 내수용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의 대응.” 연구자료 15-01.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환우. 2011. “중국의 가공단계별 수출입구조로 본 중국 내수시장 변화와 시사점 .”
Trade Focus Vol.10 No.23. 서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조윤기.김운겸.조은선. 2015. “대만⋅한국과 중국 및 주요국들 간 무역의 정치적 외부성 분석.” 『한중사회과학연구』제13권 제3호. 서울: 한중사회과학학회.
조윤애.박종복.오영석.이상.최윤희. 2008. “신기술산업의 국제분업구조와 글로벌 전략.” 연구보고서 제532호. 서울: 산업연구원.
주성환.강진권. 2012. “한중경제관계 확대의 정치적 효과.” 『한중사회과학연구』제11권 제1호. 서울: 한중사회과학학회.
지만수. 2017. “대중수출 둔화의 구조적 원인과 대응전략: 수입대체와 생산기지 이전 효과.” KIF 연구보고서 Vol.2017 No.7. 서울: 한국금융연구원.
진시원.홍익표. 2017. 『세계화 시대의 국제정치경제학』. 부산 : 부산대학교출판부.
천용찬.한재진. 2016. “중국의 가치사슬 역할 변화와 시사점 - 중국 홍색공급망의 확산을 예의주시하자.” 경제주평16-33. 서울: 현대경제연구원.
Katsuji, Nakagane저.강희정, 강경구 공역. 2016. 『중국경제발전론』. 서울:
무역경영사.
홍성범.김기국.김석관.임상현.유철. 2011. “슈퍼차이나 부상과 글로벌
기술분업구조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I) -동북아 국제분업구조를 중심으로-.” 정책연구 2011-08.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홍성현. 2017. “삼성 LG에 도전장. 디스플레이 굴기 선도하는 BOE.”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1108000250
<영문 자료>
APEC. 2005. “Patterns and Prospects on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APEC Region.” https://www.apec.org/Publications/2005/12/Patterns-and-Prospects-on-Technological-Progress-in-APEC-2005.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undation(ITIF).
Heath, Michael. 2017. “The Strange Case of Korea and Taiwan's Diverging Export Fortunes.”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7-03-27/the-strange-case-of-korea-and-taiwan-s-diverging-export-fortunes.
International Monetary Fund, Research Dept. 2016. “World Economic Outlook, October 2016: Subdued Demand: Symptoms and Remedies.” 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Issues/2016/12/31/World-Economic-Outlook-October-2016-Subdued-Demand-Symptoms-and-Remedies-44024.
Jean-Paul, Rodrigue.Fadi, Farra.Gary, Gereffi.Jun, Ni.João Carlos, Ferraz.Ludovico, Alcorta. 2014. “The Future of Manufacturing: Driving Capabilities, Enabling Investments”. World Economic Forum. Vienna: UNIDO.
Kaname, Akamatsu. 1962. “A Historical Pattern of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Journal of Developing Economies』Vol. 1, No. 1. Chiba: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Kasahara, Shigehisa. 2004. “The Flying Geese Paradigm: A critical study of its
application to East Asian regional development.” MPRA Paper 21881. Germany: University Library of Munich.
Chi Hung, Kwan. 2002. “The rise of China and Asia’s flying geese pattern of economic de-
velopment: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US import statistics.” NRI Papers No. 52. Tokyo: Nomura Research Institute.
Lall, Sanjaya.Mauel, Albaladejo. 2004. “China's Competitive Performance: A Threat to East
Asian Manufactured Exports?.” 『World development』Vol.32 No.9. Amsterdam: Elsevier Science B.V.
OECD. 2013. “Interconnected Economies. Benefiting from Global Value Chains.”
http://www.oecd-ilibrary.org/sites/9789264189560-sum-ko/index.html?itemId=/content/summary/9789264189560-sum-ko&mimeType=text/html.
Peter Draper, Uri Dadush, Gary Hufbauer, James Bacchus and Robert Lawrence. 2012. “The Shifting Geographyof Global Value Chain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and Trade Policy.” Global Agenda Council on the Global Trade System Report. Cologny: World Economic Forum.
Robert, D. Atkinson.Nigel, Cory.Stephen, J. Ezell. 2017. “Stopping China’s Mercantilism: A Doctrine of Constructive, Alliance-Backed Confrontation.” SSRN Electronic Journal. Washington, DC.
Robert, Gilpin. 1975. 『U.S. Power and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 The Political Economy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New York: Basic Books.
Sarah, Mishkin. 2013. “Chinese Companies Move into Supply Chain for Apple Components.” https://www.ft.com/content/d70fca52-2691-11e3-9dc0-00144feab7de.
<중문 자료>
林建甫.陳華昇.譚瑾瑜.吳孟道.張博欽.唐豪駿(린젠푸.천화성.탄진위.우멍다오
장보친.탕하오쥔) . 2016. “紅色供應鏈對台灣產業之影響評估.” 台灣證券交易所105年度委託研究計畫. 台北: 臺灣證券交易所股份有限公司.
許碧書(쉬비수). 2015. “紅色供應鏈對我國之警訊與因應對策.” 兩岸經濟統計月報 267期.
台北: 行政院陸委會.
孫明德(쑨밍더). 2015. “從中國開始所引發全球價值鏈的變遷與影響.” 글로벌 경제와 한-
대만 산업협력포럼. 타이베이. 10월.
王佳煌(왕자황). 2006. “雁行理論的研究軌跡:兼為雁行理論駁誤”. 『思與言』第 44 卷第 4 期. 台北: 思與言雜誌社.
王健全(왕젠취안). 2016. “面對紅色供應鏈的思維及因應策略.” 亞洲金融季報-2016夏季號. 台北: 國立臺北大學亞洲研究中心.
中央銀行(중앙은행). 2017. “中央行理監事會後記者會參考資料.”
https://www.cbc.gov.tw/public/Attachment/7122716544171.pdf.
莊奕琦.劉冬威(좡이치.류둥웨이). 2012. “經濟整合與政治衝突的關聯性─以兩岸關係為
例.” 中國大陸研究 第55卷 第1期. 台北: 政治大學國際關係研究中心.
<인터넷 자료>
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KOTRA https://www.kotra.or.kr/kh/main/KHMIUI010M.html
산업연구원 http://www.kiet.re.kr/kiet_web/main/
대외경제정책연구원 http://www.kiep.go.kr/index.do
경제부국제무역국(經濟部國際貿易局) https://www.trade.gov.tw/
행정원 대륙위원회(行政院大陸委員會) https://www.mac.gov.tw/
TAITRA http://www.taitra.org.tw/
대만경제연구원(台灣經濟研究院) http://www.tier.org.tw/
상무부(商务部) http://www.mofcom.gov.cn/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http://www.stats.gov.cn/
해관총서(海关总署) http://www.customs.gov.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