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文文獻(按作者姓氏筆劃排序)
期刊論文:
王雅慧,2014,《韓國發展文化產業軟實力之研究-以韓流現象為例》,碩士論文,南華大學。朱玉君,2014,《由韓流看韓國如何打造文創產業及提升國家品牌形象》,碩士論文,中國文化大學。江佩蓉,2004,《想像的文化圖景:韓流與哈韓族在台灣》,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頁7、53。李怡瑩,2014,《喜歡韓綜、討厭韓國? 台灣的韓國綜藝節目閱聽人矛盾情結研究》,碩士論文,國立中正大學。林金定、嚴嘉楓、陳美花,2005,〈質性研究方法:訪談模式與實施步驟分析〉,《身心障礙研究3卷2期》,頁124。
施佩姍,2013,《韓流在台灣的發展與成功因素分析》,碩士論文,中國文化大學。范麗娟,1994,〈深度訪談簡介〉,《戶外遊憩研究7卷2期》,頁28、32。
夏春祥,2007,〈文本分析與傳播研究〉,《新聞學研究》,第54集,頁145。
張瑞星,2011,〈論電視節目版式之著作權保護》,《科技法學評論8卷2期》,國立交通大學科技法律研究所,頁117。
張維安,2001,〈文字模式線上訪談的特質及其限制〉,《資訊社會研究》,頁282。
莊幃婷,2011,《「偶像假結婚」作為理想浪漫婚姻典範?-韓國實境綜藝節目《我們結婚了》之台灣女性閱聽人分析》,碩士論文,國立台灣師範大學,頁25-27。許如婷,2014,〈韓流在台灣:從實境/真人秀《Running Man》探討閱聽人的「迷」身份實踐〉,《2014年年會論文》,中華傳播學會。頁4-5。
郭力昕,2013,〈表演風潮下的迷思〉,《明道文藝第444期》,頁26。
陳怡如,2003,《綜藝節目色情與暴力內容效果--以台北市國民中學學生為例》,碩士論文,中國文化大學,頁5。陳憶華,2007,《參考服務在國內檔案典藏單位應用之研究》,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陳曉宜,2005,《報社記者抵抗資源之研究》,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頁31。游美惠,2000,〈內容分析、文本分析與論述分析在社會研究的運用〉,《調查研究—方法與應用第8期》,中央研究院調查研究專題中心,頁15、17-19。
程紹淳,2010,〈瓊瑤電視戲劇風格的蛻變:《還珠格格》─一個類型(genre)的分析〉,《傳播與管理研究9卷2期》,南華大學傳播學系,頁12。
黃文卿、林晏州,1998,〈深度訪談之理論與技巧─以陽明山國家公園遊園專車推動為例〉,《國家公園學報8卷2期》,頁168-169。
黃意植,2015,〈韓國的電視媒體控制〉,《新聞學研究第122期》,政治大學新聞系。
楊 帆,2016,《韓國綜藝節目模式在中國的在地化探析---以《爸爸去哪兒》為例》,碩士論文,國立交通大學。
鄭淑文,2007,《紀實娛樂頻道節目全球在地化歷程探析—以Discovery在台灣的發展為例》,碩士論文,國立政治大學。頁81-82。鍾志鵬,2006,《韓劇崛起關鍵因素之研究-韓流現象的觀察與學習》,碩士論文,國立臺灣師範大學。簡妙如,2008,〈全球化中的「更真實」狂熱:真人實境節目的心理技術〉,《新聞學研究第94期》,政治大學新聞系。頁5、頁7-8。
專書:
Steve Bruce、Steven Yearley 著、鄭皓譯,2014,《社會學智典》,韋伯文化。
方偉達,2017,《期刊論文寫作與發表》,五南。
王泰俐,2004,《電視新聞感官主義》,五南。
朱柔若譯、W. Lawrence Neuman編,2000,《社會研究方法─質化與量化取向》,揚智。
陳儒修、郭幼龍譯、Robert Stam著,2012,《電影理論解讀》。台北:遠流。
楊大春,1995,《德希達》,台北:生智。
葉至誠、葉立誠,2011,《研究方法與論文寫作(3版)》,台北:商鼎。
潘淑滿,2003,《質性研究:理論與應用》,台北:心理。
鄭淑著、陳聖薇譯,2016,《韓國影視講義2:綜藝》,新北:大家。
羅夫‧錢森,沈若薇譯,2000,《夢想社會-後物質主義世代的消費》,麥格羅希爾。
韓文文獻(按作者姓氏筆劃排序)
期刊論文:
강운혁(2007), 「TV프로그램의 장르확장에 관한 연구 -무한도전 드라마‘로맨스’를 중심으로-」,『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5(1)』, pp3-4.
김남일(2008),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서 웃음유발의 정치성- MBC-TV 〈무한도전〉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2(6)』, pp35-36.
김보영, 강슬기, 김태욱(2008),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연구」,『한국언론정보학회 학술대회』, p493, p495.
김수정(2011),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서구조와 문화정치학」, 『방송문화연구 23(2)』, p42, p52, pp63-64.
김영만(2008),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포맷에서의 스토리텔링 구조에 관한 연구: <무한도전>, <1박2일>, <패밀리가 떴다> 프로그램의 캐릭터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콘텐츠 Vol.2』, p128.
김영성(2014a),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 <무한도전>의 스토리텔링 연구」, 한남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박사학위논문. pp23-25, p73.
김영성(2014b),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자막에 나타난 서사성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한남어문학 Vol.38』, pp33-54.
김예란, 박주연(2006), 「TV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제작자 심층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0(3)』, pp7-48.
김용석(2009), 「오락 프로그램 자막의 오락적 효과에 대한 연구 : MBC <무한도전〉을 소재로」,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p124.
김윤희(2014), 「리얼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연구: <무한도전>,<1박2일>,<남자의 자격>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p15, pp22-25, p37, pp48-50, pp76-77, pp104-105.
김의권(2007),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확산과 즐거움에 관한 연구」, 『CERI 엔터테인먼트연구 Vol.8』, pp147-167.
김지연, 허철(2010), 「텔레비전을 통한 정치적 패러디: YTN돌발영상, KBS시사투나잇, MBC무한도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2)』, p223, p248.
김지원(2013), 「예능프로그램 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MBC 무한도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p105.
김희정(2008), 「버라이어티쇼 장르 변화에 관한 연구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노동렬(2015), 「방송 예능프로그램 포맷의 진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pp60-62.
문강형준(2007), 「<무한도전>과 신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시대 일상과 노동에 대한 ‘리얼 버라이어티쇼’」, 『문화과학 52권』, p386
박근서(2004), 「텔레비전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의 장르 특성」, 『방송문화연구 16(2)』, p40.
박용규(2014), 「한국 텔레비전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성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pp51-63.
배진아, 박주연(2010), 「TV포맷의 유형과 탐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1(1)』, pp121-152.
배현주(2010), 「방송콘텐츠 분석을 통한 한국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I)에 대한 담론-MBC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차세대인문사회연구 6』, p319.
변영수(2008), 「오락 프로그램에 나타난 자막의 표현 형식 연구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Vol.41』, p81.
서병기(2011), 「오디션 열풍, 예능의 민주화- 투명한 경쟁, 쌍방형 커뮤니케이션」, 『방송작가 4월호』, pp16-19.
송 화(2009),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포맷화 가능성 연구-〈무한도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학위논문.p79.
송순주(2007), 「TV오락프로그램에서 자막이 시청자 재미와 인지에 주는 영향: MBC 무한도전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p61.
신상기(2015), 「텔레비전 예능의 대중문화적 함의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박사학위논문.p3.
옥민혜, 박동숙(2010), 「‘오락적 현실감’ 작동 방식과 상호텍스트성 : 리얼버라이어티 쇼 수용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4』, p73.
원용진, 주혜정(2002), 「텔레비전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dual co-evolution)」, 『한국방속학보 16(1)』, p300.
이경숙, 조경진(2010), 「오락프로그램에 차용된 리얼리티와 경쟁의 조합 -<서바이버>와 <무한도전!> 비교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1(1)』, p105
이은정(2008),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시청 선호 요인 분석 -<무한도전>과 <1박 2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pp42-43, pp54-55, p62.
이창원, 김정현(2015), 「주말 저녁 지상파 예능 프로그램의 다양성 변화(2004~2013)」, 『한국언론학보 59(3)』, pp266-267, p273.
정영희(2005), 「한국사회의 변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연구 : 레이몬드 윌리암스의 '정서구조'개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pp34-35, p48.
주창윤(2004),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2004.12』, pp105-106, p127.
차찬영, 박주연(2012), 『TV 오락 프로그램의 포맷 구성의 변화 -2000년대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2(3)』, p528, pp533-554.
최성민(2010), 「대중 매체 텍스트의 리얼리티 문제 연구 - TV 프로그램〈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8』, pp125-146.
최철웅(2008), 「누가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두려워하는가?」, 『문화과학 2008년 봄호 (통권 제53호)』, p374.
한형주(2009),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자막 생산과정에 관한 연구 –MBC’무한도전’, ‘우리 결혼 했어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방송영상학과 석사학위논문.
홍석경(2004),「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 장르 형성에 대한 연구」,『방송문화연구 제16-1호』, p265.
專書:
SBS(2001), 『SBS 10년사』, SBS.
강준만(2006), 『한국 근대사 산책 199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강준만(2007), 『한국대중매체사』, 인물과사상사.
권경우[외](2012), 『웃기는 레볼루션 : 무한도전에 대한 몇 가지 진지한 이야기들』, 서울: 텍스트.
김은영(2011), 『예능은 힘이 세다』, 파주: 글항아리.
박주연(2005),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 한국언론재단.
배기형(2010), 『국경없는 TV, 경쟁하는 프로그램』,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종수(2004), 『TV 리얼리티 - 다큐멘터리, 뉴스, 리얼리티 쇼의 현실 구성』, 서울: 한나래.
정덕현[외](2014), 『다큐처럼 일하고 예능처럼 신나게』, 서울: 중앙북스.
최은경(2014), 『사실적 텔레비전과 방송 편성 문화』,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최창렬(2012), 『대한민국을 말한다』, 파주: 이담북스.
한진만[외](2013), 『방송학 개론: 2013개정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英文文獻(按作者姓氏筆劃排序)
期刊論文:
Dirk Eitzen (1995),When Is a Documentary?: Documentary as a Mode of Reception,Cinema Journal, Vol. 35, No. 1, p82.
Dukes, S. (1984),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3(3), pp197-203.
Jones, J. M. (2003), Show your real face: A fan study of the UK Big Brother transmissions (2000, 2001, 2002). Investigating the boundaries between notions of consumers and producers of factual television, New Media and Society, 5(3), pp419-420.
Richard Kilborn (1994), How Real Can You Get? : Recent Developments in ‘Reality’ Television, European Journal of Cummunication, 9(4), pp421-439.
專書:
Couldry, N. (2003), Media rituals : a critical approach, Routledge.
Daya Kishan Thussu (2007), News as Entertainment: The Rise of Global Infotainment, Sage.
Gien Creeber (eds.) (2008), The Television Genre Book, Palgrave Macmillan.
John Fiske (1987), Television Culture, Routledge.
Susan Murray, Laurie Ouellette (2008), Reality TV: Remaking Television Culture, New York University Press.
網路資料(按作者姓氏筆劃排序)
孔方正(2008)。質性研究。取自http://www.pws.stu.edu.tw/fckung/file/QR.pdf
毛予倩(2015/05/12)。韓國綜藝實地調查-現狀篇:跑男過氣爸爸出局。騰訊娛樂》。取自http://ent.qq.com/a/20150512/063362.htm
辛 佳(2015/11/06)。《康熙來了》壽終正寢,媒體人下診斷報告書!。新浪娛樂。
取自http://punchline.asia/archives/17204
易前良(2006/09/26)。韓劇:電視文本的文化旅行 以《大長今》為例。
取自http://media.people.com.cn/BIG5/40628/4858316.html
娛樂頻道(2015/08/27)。「不食人間煙火」 沈玉琳嗆金鐘評審。自由時報。
取自http://ent.ltn.com.tw/news/breakingnews/1425443
梁姍樺(2015/08/28)。「污辱整個綜藝圈就是不行」吳宗憲要求金鐘評審道歉說明。
風傳媒。取自http://www.storm.mg/article/63824
許逸群(2015/08/26)。金鐘入圍/綜藝節目獎險全部從缺?評審團「4大指正」。
ETtoday。取自http://star.ettoday.net/news/555481
談玉儀(2007/03/04)。羅蘭巴特:文本閱讀的歡愉。取自http://blog.udn.com/Dalloway68/787595
魯皓平(2015/08/27)。金鐘入圍名單從缺!台灣綜藝怎麼了?。遠見。
取自 http://www.gvm.com.tw/webonly_content_6122_1.html
JulyCaesar(2015/08/30). 무한도전에 나온 선영 씨 입양 사연이 제일 화나는 건....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b=bullpen2&id=3163411
learningkang(2011/06/14). 예능계의 서태지, 김태호를 만난다.
https://learnandrun.tistory.com/entry/%EA%B9%80%ED%83%9C%ED%98%B8-PD-interview
MIN(2014/04/11). 양심 냉장고 탄생배경.
http://nbamania.com/g2/bbs/board.php?bo_table=humor&wr_id=216523
YOMI(2015/08/30). 무한도전 선영씨 방송에 나오지 못한 입앵 사연.
http://yomiyomiyomi.tistory.com/549
고홍주(2008/04/12). '무한도전'이 만든 네 가지 예능 트렌드 공식. 마이데일리. http://media.daum.net/breakingnews/view.html?cateid=1005&newsid=20080412085308049&cp=mydaily&RIGHT_ENTER=R5
곽진성(2008/12/17). '죽은 마을' 오쇠동에도 봄은 올까. 오마이뉴스.
http://blog.ohmynews.com/yuchangseon/264961
곽진성(2009/06/22). <무한도전> '여드름 브레이크' 상금 300만원, 사실은....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61201
국제앰네스티(2015/11/18). 제 18회 국제앰네스티 언론상 수상작 발표.
https://amnesty.or.kr/12058/
김명현(2011/07/07). 주병진 “몰래카메라 내가 만들었다”.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70703410851029
남승모(2012/12/05). 이정희 "박근혜 떨어뜨리기 위해 나왔다" 논란. SBS.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517596
모리, 〈예능계의 서태지, 김태호를 만난다〉, http://mori783.egloos.com/v/5364035
문성원(2015/09/10). '무한도전', 국민예능 만든 4가지 구성요소. 스포츠조선.
http://sports.chosun.com/news/utype.htm?id=201509110100116340007985&ServiceDate=20150910
바람나그네(2014/05/05). 무한도전의 세월호와 현 시국 풍자. 이게 진짜다.
https://fmpenter.com/2403
박희준(2013/01/14). 입양아 수출대국… 부끄러운 한국.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130113023078
신소영(2002/02/06). 나라도 못하는 기난 구제, 방송이라 될쏘냐.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65897
심수미(2010/04/17). 천안함 희생장병 추모 위해 지상파 3사 예능 모두 결방.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4115570
안희정(2015/12/17). 올해 시청자가 꼽은 최고 예능 프로그램은 '무한도전'. ZDNet Korea.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51217150424
온라인이슈팀(2014/09/20). '슈퍼스타K6' 송유빈, 슈퍼위크 불참으로 자동탈락…왜?.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92009120975508
우동균(2015/11/20). <무한도전>의 촌철살인, 역시 국민 예능답다!. 오마이뉴스.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161820
유지윤(2011/06/05). 최성봉 예고출신 논란, 알고보니 성악과 졸업..“시청자 우롱”. 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news/201106051423169107
유창선(2009/03/29). 한승수 총리의 PD수첩 수사 압박. 오마이뉴스.
http://blog.ohmynews.com/yuchangseon/264961
윤여수(2011/09/20), 1992년 ‘일밤’ 몰래카메라 방송수위 논란. 스포츠동아.
http://news.donga.com/3/all/20110919/40438334/5
이광표(2009/10/10). 예술, 정치를 만나다.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090928/8814668/1
이선필(2015/02/28). "시청자들한테 위험해"... 무한도전 징계, 정당했을까. 오마이뉴스.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084772
이정민(2012). ’무한도전’, 예능 프로그램인가? 연예 프로그램인가?.
http://hangul.typographyseoul.com/tshangul/48060
이정환(2015/02/06). 김태호-유재석 뽀뽀, 경위서 한 장에서 시작됐다.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79167
이정환(2015/03/19). 대세를 뒤집어 놓은<무한도전>의 결정적 한 수.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89708
이준목(2007/11/05). 90년대의 몰카VS 2000년대의 몰카.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87901
장석우(2008/12/29). 버라이어티(Variety)란 무엇인가?. MBC.
http://enews.imbc.com/News/RetrieveNewsInfo/626
저자불명(1994/12/20). 문화체육부 분석 "오렌지족 특징 9가지".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home/view/1994/12/65346/
저자불명(2008/07/07). 美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 일지.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080707211600004
저자불명(2010/04/02). '천안함 침몰' KBS, MBC, SBS 주말 간판예능 결방. 스포츠조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4/02/2010040201894.html
저자불명(2013/08/08). MBC TV방송국 개국, 아파트뉴스.
http://www.apt-news.net/sub_read.html?uid=2584
저자불명(2015/04/16). '세월호 1주년' 해피투게더 등 방송사 주요 예능 결방 '애도 동참. 스포츠조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4/16/2015041603395.html
정덕현(2011/03/03). 버라이어티쇼의 진화, ‘일밤’의 계보학. 엔터미디어.
http://www.entermedia.co.kr/news/print.html?idx=83
정솔희(2014/05/24). '무한도전' 선택 2014, 최종 투표자수 45만…차세대 리더는 누구?. OBS NEWS.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7450
정철운(2012/10/27). 유재석과 박명수로 한국 사회 ‘상식’ 보여줬다. 미디어오늘.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05680
최두선(2015/05/16). '무한도전' PPL 한 개, 열 광고 안 부럽다. e스타.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126093
최영주(2015/02/03). ’무한도전’광고, 없어서 못 판다. Pd JOURNAL.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54492
허윤희(2007/03/18). SBS주말 예능프로 ‘올해는 안 풀리네’.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197109.html
홍세영(2015/07/07). ‘프로듀사’ ‘무한도전’, 2015 상반기 콘텐츠 파워 1위.
스포츠동아. http://sports.donga.com/3/02/20150707/72323926/1
황소영(2018/03/06). 종영 '무한도전' 브랜드 가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2447387
韓國蓋洛普調查研究所:http://www.gallup.co.kr/
韓國尼爾森:http://www.nielsen.com/kr/ko.html
《無限挑戰》官方網站:http://www.imbc.com/broad/tv/ent/challenge/mai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