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中文文獻 孔子學院總部 (2014),『國際漢語教學通用課程大綱(修訂版)』,北京語言大學出版社。 李培毓、王帥 (2016),「第二語言文化教學理念比較分析——以美、歐、中三套 標準為基礎」, 華語文教學研究,13:第4期,頁77-102。 金美娜(2011),「韓國與教學中關於韓國文化教育方案的建議」,《文學教育》, 頁95-97。 孫淑蘭(2017),「韓語教學中滲透文化教育的探究」,教育現代化,第32期,頁 284-285。 陳慶智(2017),「臺灣高中第二外語教育的實施現況與課題—以韓語教育為中心」, 高雄應用科技大學人文與社會科學學刊,第3卷,第2期,頁1-12。 教育部(2018),「十二年國民基本教育國民中學暨普通型高級中等學校 語文領域 —第二外國語文課程綱要課程手冊」。 教育部(2018),「十二年國民基本教育國民中學暨普通型高級中等學校 語文領域 —第二外國語文」。 彭靜敏(2013),「韓語教學中的跨文化教育研究」,《產業與科技論壇》,第12卷第13期,頁170-171。 歐洲理事會文化合作教育委員會(2008),《歐洲語言共同參考框架:學習、教學、 評估》,北京:外語教學與研究出版社。 鍾長志(2018),「國教課綱之二外課程建構—以12年國教課綱為中心」,韓國學 研究論文集,第六冊,頁47-66。 2. 韓文文獻 강현화(2010),「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수 방향성에 대한 제언 - 선행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 11-35. 강현화(2010),「한국어교육학 연구의 최신 동향 및 전망 연구사를 종심이로」, 『국어국문학』, pp. 39-78. 국제한국어교육학회(2008),『한국어교육론2』, 한국문화사. 국립국어연구원(2017),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국립 국어연구원. 김중섭(2005),「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의 현황 및 과제」,『이중 언어학』,제27호, pp.59-85. 민현식(2006),「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방향과 방법」, 『한국언너문화 학』, 제3권, 제2호, pp. 137-180. 박병선(2019),「대만의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Journal of Korean Culture, 45, pp. 85-104. 박영순(2003),「한국어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에 대하여」, 『이중언어학』, 제23권, 제23호, pp. 67-89. 박영순(2006),『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도서출판 월인, pp. 180-233. 조항록(2004),「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서론(試論)」,『한국언어문 화학』,제1권, 제1호, pp. 199-219. 조항록(2005),「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교육의 새로운 방향」, 『한국어교육』, 제16권, 제2호, pp. 279-306. 조항록(2015),「한국어 교육 정책과 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한국어 교육』,제26권 재4호, pp.389-415. 증천부(2003),「대만에서의 문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의 실정과 개선방향」, 국어교육연구,제12집, pp. 307-330. 진경지(2017),「대만 고등학교의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발 전연구」, 한국언어문화, 제64집, pp. 23-38. 3. 英文文獻 Brooks, Nelson. (1975). The analysis of foreign and familiar cultures. In Robert Lafayette(Ed). The Culture Revolution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Lincolnwood, IL.:National Textbook. Kroeber, A. L., Clyde, K. (1952). Culture: A critical review of concepts and definitions. Papers of the Peabody Museum of American Archaeology and Ethnology. vol. 47. no. 1. Stern, Hans Heinrich (1992). Issues and options in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